분류 전체보기 (1241) 썸네일형 리스트형 Crypto.com의 MCO토큰스왑(MCO→CRO) 프로그램 공지 요약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MCO와 CRO라는 2개의 멀티토큰 생태계를 가지고 있었던 크립토닷컴(Crypto.com)이 보다 간소화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CRO토큰 하나로만 운영되는 단일토큰 생태계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현재 여러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MCO토큰들은 2020년 11월 3일 08:59(우리나라 시간 기준)까지 CRO토큰으로 스왑되어야 하는데, MCO와 CRO의 상대적 거래가격과 MCO→CRO의 토큰 스왑 비율차이로 인해 MCO의 가격이 급등 중에 있습니다. MCO토큰 스왑 공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여 공유드리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Crypto.com의 공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크립토닷컴 공지 : Important Announcement: MCO Swap Program Importan.. [DeFi] Uniswap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월렛 추천 : Dharma Wallet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유니스왑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께 수수료나 높아진 가스(GAS)비용의 부담없이 가볍게 유니스왑의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 월렛 Dharma를 소개드립니다. Dharma는 Y Combinator, Coinbase, 폴리체인캐피탈 등에서 투자를 받은 프로젝트로 월렛 사용에 서투른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이 가능한 Smart Wallet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Dharma Smart Wallet은 iOS와 Android 모두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검색창에 Dharma로 검색하시거나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iOS : https://apps.apple.com/us/app/dharma-save-send-globally/id1495144415 Android : http.. 원화를 USDT/USDC/DAI로 즉시 전환하는 환전 팁 최근 디지털자산(암호화폐)들의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인해서 많은 국내 사용자들이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는 부분이지만,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원화를 얼마나 빠르고 간편하게 스테이블코인으로 바꿀 수 있느냐"는 거래소의 가장 중요한 수익 모델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의 (1)시가총액, (2)자유도, (3)DeFi 수익률 등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현재 스테이블코인의 3대장은 테더(USDT), USD Coin(USDC), 다이(DAI) 정도로 요약할 수 있는데, 국내 거래소들도 천천히 원화-스테이블코인의 거래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곳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원화를 USDT, USDC, DAI로 즉시 전환하는 환전 팁을 간략하게 소개드립니다. #1. DAI환전하기 며칠 전 코인원에서는 오더북이.. [GOPAX] 8월 3일 15시 전까지 고팍스에 보관 중인 STEEM/SBD를 출금하셔야 합니다 약 한 달 전쯤에 공지가 되었던 것처럼 고팍스에서 STEEM과 SBD의 입출금이 8월 3일(월) 15:00까지만 지원됩니다. 혹시라도 현재 고팍스에서 스팀과 스팀달러를 보관하고 계시는 분들은 8월 3일 15시 전까지는 개인 계정 또는 타 거래소로 출금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스팀 출금 가능 국내 거래소 : 업비트, 빗썸, 프로비트, 후오비코리아 스팀달러 출금 가능 국내 거래소 : 업비트 현재 고팍스 거래소(@gopax-deposit)에 보관되어 있는 STEEM과 SBD의 수량이 아직도 상당해보입니다. 0.001 이상의 스팀과 스팀달러를 보관 중인 경우 적은 수량이라도 출금이 가능하니, 잊지 마시고 기한 내에 다른 거래소나 개인 계정으로 꼭 옮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 후 로그인을 진행.. 빗썸에서도 상장 폐지된 스캠 프로젝트 코스모코인(COSM) 이더리움에서 클레이튼으로 마이그레이션을 한 이후에 블록익스플로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틈을 타서 사전 공지 없이 약 4억 개의 토큰을 발행해서 펌핑 후 현금화, 거래소 상장 이벤트, 상장비용 지급, 인수합병 등을 진행했던 코스모코인이 결국 빗썸에서도 상장 폐지가 되었습니다. 빗썸 공지 : https://cafe.bithumb.com/view/board-contents/1641007 코스모코인(COSM) 가상자산 임의 발행을 통한 재단의 부당 거래 행위로 투자자 가치의 손실과 이로 인한 급격한 시세 변동 등이 발생했습니다. 재단의 소명과 사업 활동에도 안정적 거래가 유지되기 힘들고 임의 발행 후 투자자 보호를 위한 조치 또한 미흡하다고 판단되어 거래지원 종료를 결정합니다. 빗썸의 상장 폐지 공지에도 .. [빗썸 상장] 조용히 잘 성장해나가고 있는 Algorand 최근에 개인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었던 알고랜드(Algorand)가 금일 빗썸에 상장한다고 합니다. 알고랜드는 이미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 프로, 코인베이스를 비롯하여 후오비 등 거래소의 끝판왕으로 불리는 해외거래소들에 굉장히 빠르게 상장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나, 국내 거래소에는 이번 빗썸 상장이 처음입니다. 그러다보니 아직 한국 투자자들에게는 많은 정보들이 알려져 있지 못한 것 같네요. 대부분의 코인(토큰)들이 소형 거래소에서 시작하여 가장 마지막에 다다르는 곳이 바이낸스, 코인베이스인데 반해 알고랜드는 끝판왕 거래소들에 먼저 상장하고 아시아 및 한국쪽으로 마켓을 넓히기 시작했다는 점이 굉장히 특이하게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아무래도 이미 대형 거래소 상장이라는 추가 호재는 끝났고, 다.. 코인빗이 쏘아올린 작은 공 공지 메타와 바이백(Buy back)이 아닌 빠이백(Bye back) 공지로 논란이 있었던 코인빗에서 며칠 전에 100 TEC PTE.LTD라는 싱가포르에 기반을 두고 전세계 다수의 블록체인 산업에 투자하고 있는 투자 법인과 전략적 사업 제휴를 맺고 바이백 펀드(Buy-Back Fund)를 조성한다는 공지를 올렸습니다. 코인빗 공지 : [안내] 바이백 펀드(Buy-Back Fund) 관련 안내 - 코인빗 사실 해당 공지는 "우리 바이백 많이 해서 코인들 가격 끌어 올려줄 예정이니까 돈 좀 써줘" 정도의 의미 밖에 없는 영양가 없는 그냥 공지 중 하나였는데, 해당 공지에 나온 100 TEC PTE.LTD라는 회사에 대해 유저들이 구글링을 하다가 재미있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100 tec pte 검색하다가 .. 패스트팔로워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는 TRON 전설 속의 배임/횡령 거래소인 코인네스트에 트론이 상장하던 시절을 제외하고는 트론에 그다지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아왔습니다. "트론 = 저스틴 썬"이라는 공식이 있을만큼 저스틴의 마케팅을 제외하면 딱히 큰 가치가 없을거라고 생각을 해왔었으나, 이제는 트론에도 꽤나 큰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테크분야에서 애플처럼 완전히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샤오미나 삼성처럼 패스트 팔로워가 되어 시장지배력을 가지는 기업들의 잠재력도 무시할 수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가상화폐 과세 등 규제 문제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거래소들의 내부적인 사정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국내 거래소들이 디지털자산 트렌드에 따라가지 못하고 신규 상장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해 지면서 바이낸스 등의 .. 이전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