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41)
[CoinList] NEAR토큰 추가판매 재시작 + 참여방법 안내 약 11시간 전쯤부터 CoinList에서 NEAR토큰의 추가 커뮤니티 세일이 시작되었습니다. 이전에 코인리스트에서 KYC를 완료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로 접속하시면 최대 3,000 NEAR의 토큰 세일에 참여가 가능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드렸던 것처럼 아쉽게도 이번 추가 세일에는 1년 또는 2년 베스팅 조건이 붙어 있으며, 기존의 노락업 조건의 구매 옵션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NEAR 커뮤니티 세일 링크 : https://coinlist.co/near-community-sale 위의 링크로 접속하신 다음에 "0.34달러+1년 락업" 또는 "0.29달러+2년 락업" 조건 중에 원하시는 옵션을 클릭하시고, BTC, ETH, USDC 중 원하는 결제수단을 선택하시면 참여가 가능합니다. CoinLi..
[DeFi] 저스트스왑(JustSwap) 베타 버전 공개 +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트론의 무서운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는 저스트스왑(JustSwap)의 베타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기본적인 기능들이나 디자인들은 이더리움 기반의 유니스왑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라 기존에 유니스왑을 이용해보신 분들이라면 조금만 만져보시면 쉽게 이용이 가능하실 것 같네요. 저스트스왑 베타 버전 링크 : https://test.justswap.io/ 현재 여러 코인 커뮤니티에서는 저스트스왑이 출시되면 어떤 TRC20토큰의 가격이 급상승할 것이냐를 두고 다양한 예측들이 나오고 있는데, 일단 출시 이후 초반에는 다음과 같은 리스크를 주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1) 개인지갑 조작 상의 실수 : 개인 지갑을 처음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POOL에 유동성을 공급하려다가 잘못된 토큰 스왑을 진행하거나, 교환하려는 토큰쌍을 ..
[DeFi] 주요 DeFi 프로젝트들의 거래소 상장 현황 최근에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는 DeFi프로젝트 토큰들의 상장 현황을 지켜보고 있으며, 확실히 바이낸스 거래소가 왜 세계 최고의 거래소라고 불리는지 그 이유를 실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밴드 프로토콜(BAND)이나 카바(KAVA)의 경우에는 바이낸스 런치패드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다른 거래소들의 상장이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다른 주요 DeFi 프로젝트들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바이낸스에 상장되어 있는 반면에 나머지 거래소들에는 아직까지 상장이 되지 않고 있는 모습은 이해하기가 좀 어려운 부분입니다. DeFi 프로젝트들은 사용자들의 자신들의 자산을 거래소에 위탁하여 보관하고 거래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신의 개인 지갑에 보관하고, 개인 지갑에서 직접 거래를 하는 non-custodia..
[CoinList] 기존 KYC완료 회원 대상 NEAR토큰 추가세일 진행 예정 지난 8월 12일에 코인리스트(CoinList)에서 인기리에 마감되어 버렸던 NEAR토큰 세일에 시스템 상의 결함이 많았던 관계로, 코인리스트와 NEAR팀에서는 KYC까지 완료하였으나 토큰세일에 참여하지 못한 유저들을 대상으로 8월 18일부터 24일까지 추가세일을 진행합니다. 아마도 코인리스트에서 KYC를 완료하신 분들은 아래의 메일을 받으셨을텐데, 해당 내용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추가판매일정 : 2020년 8월 18일(화)~24일(월) (2) 자격조건 : 기존에 토큰세일 참여를 위해 KYC까지 완료하였으나 구매하지 못한 사용자 (3) 판매조건 기존 판매 옵션 중 [옵션2]와 [옵션3]에 해당했던 1년 또는 2년 락업 조건의 선형 배포옵션에만 참여가 가능 1인당 최대 3,000개 까지..
[DeFi] Zilliqa가 아니라 SWITCHEO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얼마 전에 여러 코인뉴스 채널에서 위 이미지를 공유하면서 #Zilliqa 해시태그를 달아 질리카의 호재 소식인 것처럼 전달했었는데, 사실 이 뉴스로 주목해야 할 것은 질리카가 아니라 스위치오(Switcheo)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초 NEO 생태계에서 대표 탈중앙화된 거래소(DEX)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위치오팀은 실제 개발 능력이나 출시한 프로덕트에 비해 가장 저평가되어 있고 잘 알려지지 DeFi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네오의 엄청난 부진 속에서도 끊임 없는 개발을 지속해왔고, 얼마 전에는 Switcheo Network에서 SWITCHEO로 로고와 이름을 리브랜드 하였습니다. 현재 스위치오의 덱스는 이미 구축이 되어 꽤나 많은 거래가 있어왔고 NEO의 NEP-5, ..
[NFT] 바이낸스의 선택을 받은 SAND는 어떤 성적을 보여줄까? DeFi가 최고의 트렌드인 상황에서 바이낸스는 샌드박스의 SAND토큰을 런치패드 프로젝트로 선정하며 앞으로의 트렌드가 NFT가 될 것이라 선언한 것과 다름없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지금까지 제법 많은 프로젝트들이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생태계에 가장 걸맞는 테마는 게임이라 예언하며, 그 중에서도 누구나 대체불가능한 토큰(NFT)의 형태로 거래할 수 있는 아이템 시장을 만드는 것을 꿈꾸었으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게임 디앱들을 실패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AND의 경우 바이낸스 상장과 동시에 약 9배 가량 상승된 가격으로 거래가 시작되면서 지금까지의 바이낸스 런치패드 프로젝트 중 엘론드(ERD)에 이어 2번째로 높은 ROI로 시작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계속해서 조금씩 가격이 빠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
[DeFi] 8월 18일 JustSwap의 출시와 TRC20 그리고 STEEM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이더리움 기반 유니스왑의 트론 버전인 저스트스왑(JustSwap)이 8월 18일에 정식 출시될 예정입니다. 트위터에서 #DeFi 해시태그만 붙이면 가격이 오르는 분위기 때문인지, JustSwap에 대한 기대감 때문인지, 아니면 최근 JST의 엄청난 상승 덕분인지는 몰라도 최근에 TRX의 가격도 제법 좋은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JustSwap에 대해 개략적으로 소개를 드리고, 저스트스왑 출시 이후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TRC20토큰, 저스트스왑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STEEM의 가능성 등에 한 번 소개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JustSwap이란? 저스트스왑은 아주 간단하게는 이더리움 유니스왑(Uniswap)의 트론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EOS Inside] EOS기반 새로운 DeFi프로젝트 OGX 퍼블릭 세일 정보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이전 포스팅들을 통해 몇 번 소개한 적 있었던 EOS메인넷 기반의 새로운 DeFi프로젝트로 합성자산 발행 및 거래 플랫폼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Organix 프로토콜이 오늘(8월 15일) 오후9시부터 OGX토큰의 퍼블릭세일을 진행합니다. [링크 #1] : [EOS Inside] EOS생태계의 새로운 DeFi 프로젝트 Organix 런칭 예정 [링크 #2] : [EOS Inside] 이오스 기반의 새로운 DeFi 프로젝트 OGX 에어드랍 예정 이번 퍼블릭세일에서 판매되는 물량은 총 발행량의 20%에 해당하는 20,000,000 OGX이며 토큰세일에는 EOS 또는 TPT로 참여가 가능합니다. #1. 토큰 세일 정보 OGX토큰의 퍼블릭세일 배정 물량 중 75%는 EOS로 스왑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