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41)
[DeFi] 본딩 커브(Bonding Curve) 설명 + 초보자들의 유의사항 최근에 ICO와 유사한 방식의 IDO(Initial DeFi Offering)이 유행을 하기 시작하고, 커뮤니티로부터 제법 주목을 받았던 몇 가지 DeFi프로젝트들이 본딩 커브(Bonding Curve)를 사용하여 토큰을 판매하면서 많은 분들이 본딩 커브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사실 본딩커브는 2020년에 DeFi와 함께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 아니라 이미 2018년에 ICO를 대체하는 하나의 토큰 판매모델로서 제시되었던 개념인데 최근 들어서 다시 유행이 되고 있는 것 뿐입니다. 본딩 커브의 개념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알아보고 싶은 경우에는 Continuous Tokens, Curation Market, Bancor의 Connector 등 여러 개념들부터 공부할 필요가 있어서 그 부분은..
바이낸스 신규 런치패드 살펴보기 : The Sandbox의 SAND토큰 정리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지난 2020년 4월 22일에 진행된 Cartesi의 런치패드 이후로 약 3개월 동안 아무소식 없이 잠잠해서 BNB토큰 홀더들의 애간장을 태웠던 바이낸스에서 14번째 런치패드 프로젝트인 더 샌드박스의 SAND토큰을 공개했습니다. 바이낸스 공지 : Introducing The Sandbox (SAND) Token Sale on Binance Launchpad 지난 런치패드들이 대부분 DeFi관련 프로젝트들이었고, 최근 CZ는 트윗을 통해 DeFiEO라는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많은 유저들이 이번 런치패드로 DeFi관련 프로젝트들을 예상했었으나 바이낸스에서는 DeFi의 다음 핫트렌드로 NFT(대체불가능한토큰) 시장을 주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사실 Binance는 BNB출시 3..
[CoinList] 2020년의 기대주 NEAR Protocol의 단독 토큰세일 정보 총정리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커뮤니티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NEAR 프로토콜의 NEAR토큰세일이 CoinList에서 단독으로 진행됩니다. 8월 11일부터 CoinList에서 시작되는 NEAR토큰의 토큰세일 정보를 총정리하여 소개드립니다. NEAR토큰세일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정보는 CoinList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 링크 : https://coinlist.co/near 참고로, CoinList는 Celo, Orgin, Ocean, Algorand, Nervos, Kadena, Solana 등 토큰세일 이후에도 지속적인 개발과 마케팅, 거래소 상장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꽤나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줬던 소위 "근본 프로젝트들"만 엄선하여 단독으로 토큰세일을 하는 런치플랫폼으로 유명합니..
[빗썸vs업비트] 거래소 고래 싸움에 새우 복 터진 날(feat. BORA) 오늘은 BORA라는 프로젝트가 업비트와 빗썸이라는 거래소 고래 싸움 덕분에 제대로 대박이 터진 날이었습니다. 물론 BORA에서 업비트 BTC마켓 상장 의뢰 시에 원화마켓 상장 계약까지 완료가 되었었는데, 빗썸 원화마켓 상장일자와 겹치는 말도 안되는 우연 중 하나였을 수도 있지만 아무리 봐도 이건 업비트가 빗썸에 마켓을 뺏기지 않겠다는 공격적 행보로 밖에 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BORA 상장 관련 사태 요약] 8월 5일 12:00:27 빗썸 BORA 원화마켓 상장 공지 (입금 오픈) 순간적으로 빗썸으로 약 80억원어치의 BORA출금 시작 8월 5일 13:01:07 업비트 BORA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 BTC마켓에서 가두리 펌핑 시작 8월 5일 13:59:34 업비트 BORA 원화마켓 상장 8월 5..
[EOS Inside] EOS생태계의 새로운 DeFi 프로젝트 Organix 런칭 예정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EOS메인넷 생태계에도 DeFi열풍에 힘입어 새로운 DeFi프로젝트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Equilibrium, Pizza live, Vigor.ai, Defis Network, Defibox 등 기존부터 만들어지고 있었던 프로젝트들이 다시 재조명을 받고 있기도 하고, 최근 들어 EOS기반의 DEX 및 월렛 등에서 합작투자를 통해 새롭게 런칭하는 프로젝트들도 나오고 있네요. 오늘은 2020년 11월에 새롭게 등장할 예정인 Organix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드립니다. #1. Organix 프로토콜이란? Organix는 EOS의 자산 유동성 및 유틸리티의 다양성 등을 해결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DeFi프로젝트로 EOS메인넷 기반의 탈중앙화된 합성자산 발행 및 거래 프로..
[DeFi] Stafi 프로토콜 기본정보 + 스테이킹드랍(Staking Drop) 이벤트 시작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오늘은 PoS토큰들의 스테이킹 비율을 높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이면서도, 사용자들의 스테이킹에 따른 유동성 기회비용을 새로운 방식으로 보상하는 마켓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출시된 Staking Finance 프로토콜 Stafi Protocol에 대한 정보를 소개드립니다. 지난 7월 28일부터 Stafi에서는 DOT토큰과 XTZ토큰 홀더를 대상으로 스테이킹드랍(Staking) 이벤트를 시작하였고, 향후에 다양한 토큰들이 지원될 예정이니 해당 토큰들을 보유하고 계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원문 링크 : StaFi StakingDrop: All Stakers Unite #1. Stafi Protocol이란? Stafi는 Staking + Finance의 합성어로 Sub..
돈만 주면 대놓고 스캠도 상장하는 코인원 거래소 이미 코인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코인원 거래소는 상장수수료 없는 인기 토큰 상장트랙 + 상장수수료 장사용 펌프앤덤프트랙으로 나누어 상장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쯤되면 코인원 거래소나 차명훈 대표가 직접 나서서 "우리 그렇게 장사한다!"라고 말하지 않아도 될 상황이죠. 거래소의 주 수입원은 거래수수료가 되어야 함이 맞지만, 현재 국내 거래소는 일부 거래소를 제외하고는 툭 치면 억 나오는 상장수수료 장사가 가장 큰 수입원 중 하나인 상황인 것을 모르는 코인러들도 없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커뮤니티에서도 "에이 아무리 돈 많이 줘도 이건 너무했다" 정도로 넘어가곤 했는데, 코인원의 이번 엘라파이(Ellafy)라는 X스캠의 상장은 도가 좀 많이 지나친 수준입니다. 워낙 잘 요약되어 있는 글이 있어서 링크..
[DeFi] 디파이 사용자들을 위한 Wrapped Ether (wETH) 기초 설명 (개념 및 교환방법)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최근에 다양한 DeFi플랫폼을 사용하는 분들 및 본딩 커브 컨트랙트 등을 기반으로 한 IDO(Initial DeFi Offering)에 참여하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랩드이더(Wrapped Ether 또는 wETH)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Wrapped Ether가 뭔지, 그리고 어떻게 교환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해보겠습니다. #1. WETH란? 기본적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Ether 또는 ETH라고 부르는 기초 통화(native currency)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더리움 코인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네이티브 토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ETH는 우리가 거래소에서 거래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의 알트토큰들(ERC-20)이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