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41)
[DeFi] TRON에서 주목해야 할 Unifi Protocol과 UP토큰 트론의 DeFi 생태계는 현재까지 사실상 JustSwap이 지배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나면 커뮤니티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SalmonSwap이나 uTrade 등과 같은 새로운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현재 SalmonSwap은 LP공급 시 한 쪽을 TRX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는 커스텀 풀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차별점을 두고 있고, uTrade는 스왑 참여자들의 수수료 리베이트를 SEED로 지급하는 것과, LP공급자들에게 UP토큰을 지급하는 인센티브로 차별화를 하며 사용자들을 끌어 모으고 있는 중입니다. 오늘은 트론, 온톨로지, 하모니, 이더리움 등 다양한 퍼블릭체인들 간의 크로스체인 DeFi를 구축하려는 Unifi Protocol을 간략하게 ..
[SANDBOX] SAND토큰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추가해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지난 9월 24일 업비트 BTC마켓에 SAND토큰이 새롭게 상장했습니다. 비트코인이 계속해서 저점을 확인하고 있는 베어마켓 분위기 + 원화마켓이 아닌 BTC마켓 상장이라는 점 때문에 SAND토큰의 단기적인 가격 상승 효과는 미미했으나, 몇가지 상황들을 고려해보았을 때 SAND토큰을 어느 정도 사전에 보유해놓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판단하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한 번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국내 기관들과의 파트너십 더 샌드박스는 바이낸스 뿐만 아니라 국내 유명 VC인 해시드로부터도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Hashed의 포트폴리오에 있다는 것이 업비트 원화마켓을 비롯한 국내 거래소의 상장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해시드의 포트폴리오 + 실제 프..
[DeFi] 더샌드박스의 SAND토큰 유동성 마이닝 시작 + 참여방법 가이드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더 샌드박스의 네이티브 토큰인 SAND토큰의 유동성을 유니스왑에 공급하고 70,000달러 상당에 해당하는 SAND토큰을 채굴할 수 있는 유동성 마이닝 프로그램이 오늘(9월 25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제부터 개인 지갑에 SAND토큰과 ETH를 가지고 계시는 분들은 유니스왑에서 SAND/ETH 유동성을 제공하고 150만 개의 SAND토큰을 자신의 비율에 따라 채굴하실 수 있습니다. #1. 유동성 마이닝 정보 요약 시작일자 : 2020년 9월 25일(금) 유동성 페어 : SAND/ETH 유동성 인센티브 : 한 달간 1,500,000 SAND 유니스왑 SAND/ETH LP : https://uniswap.info/pair/0x3dd49f67E9d5Bc4C5E6634b3F70BfD9d..
일반 투자자를 위한 비트코인(가상자산) 투자 설명서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가상자산(디지털애셋) 거래소 중 하나로 손꼽히는 고팍스(GOPAX)에서 공식 미디엄 블로그를 통해 아직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에 투자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잠재적 투자자들을 위해 "일반 투자자를 위한 가상자산 투자 설명서" 리포트를 공개하였습니다. 시장에 유동성이 넘쳐나고 또 그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점점 더 많은 투자자가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가격이 전체 시장의 영향을 적게 받는 비상관 자산(Uncorrelated Assets)을 찾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만 하더라도 앞으로 25년간 다음 세대로 양도될 자산이 68조 달러의 수준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렇게 거대한 규모의 자산을 장기간에 걸쳐 온전히 이전하기 위해서라도 금융사들은 잠재 고객의 투..
[DeFi] EOS생태계의 흐름을 바꿔줄 수 있는 DFS, BOX, OGX 개인적으로 DeFis Network, Defibox, ORGANIX라는 3개의 프로젝트가 EOS의 흐름을 바꿔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아직 Organix의 경우에는 개략적인 로드맵과 DeFis Network의 DSR(DFS Saving Rate) 컨트랙트 오딧을 수행했다는 정도의 정보 밖에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이 3개의 프로젝트가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어 발전해나간다면 침체되어 있는 EOS생태계에 활기가 돌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해볼법 합니다. EOS기반의 DeFi 프로젝트들은 이더리움처럼 대형 거래소들의 러브콜을 잘 받지 못하고 있어서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미 Defibox과 DeFis Network는 빠르게 성장하며 디파이 영역에서 나름의..
[DeFi] BNB와 OKB라는 곡괭이가 추가된 NEO 플라밍고 BNB를 곡괭이로 사용하여 다른 토큰들의 파밍이 가능한 바이낸스 런치풀에서 BEL, WING에 이어 3번째 상품으로 NEO의 플라밍고(FLM)가 선정되었다는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확실히 바이낸스의 크립토 업계에서의 지배력을 실감할 수 있고, BNB가 곧 DeFi라고 했던 CZ의 트윗에 계속해서 무게가 실리는 모습입니다. 바이낸스 공지 : Introducing Flamingo (FLM) on Binance Launchpool! Farm FLM By Staking BNB and BUSD Tokens 다홍페이의 입장에서는 한동안 하락세를 면치 못했던 NEO가 다시 한 번 씬에서 주목을 받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고, 손 안대고 코 푸는 격으로 대형 거래소에 FLM의 직상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런 결정을 한 ..
[Binance] 바이낸스에 신설된 Innovation Zone은 뭘까?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바이낸스 거래소를 이용하는 분들께서는 최근에 바이낸스 현물 마켓에 Zone이라는 섹션이 신설되고 거기에 Innovation이라는 항목이 신설된 것을 보셨을겁니다. 다른 카테고리들의 경우에는 DeFi, POW, POS, Storage 등 별도의 부연설명이 없더라도 이해가 가는 카테고리이지만, Innovation Zone은 어떤 걸 의미하는지 그 의미가 좀 애매모호합니다. 현재까지 Innovation Zone에는 트론의 대표적인 마이닝 토큰인 SUN을 비롯하여 Curve Finance의 포크인 Swerve, 비트쉐어즈의 하드포크로 나온 New BitShares까지 일반적으로는 다소 생소한 토큰들이 리스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바이낸스에 신설된 Innovatio..
[GUIDE] 에어드랍 받은 BLURT를 현금화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지난 7월에 스팀 계정에 스팀과 스팀파워, 스팀달러를 보유 중이셨던 분들은 스팀 하드포크로 새롭게 탄생된 포크체인 BLURT의 에어드랍을 받으셨을 겁니다. 많은 분들의 기대와는 달리 대형 거래소 상장이나 거래소 보유 물량의 하드포크 에어드랍 지원 소식도 없어서 출시 후 3개월도 되지 않아 현재 BLURT의 가격은 바닥을 기고 있는 수준이라 좀 아쉽긴 하네요. 현재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BLURT는 ionomy거래소나 스팀엔진 또는 하이브엔진을 통해서 현금화(BTC, STEEM, HIVE 등으로 교환)가 가능하며,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는 것 같아서 에어드랍 받은 BLURT를 현금화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안내드립니다. 아래에서의 설명은 하이브엔진(hive-engine)을 통해 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