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41) 썸네일형 리스트형 [DeFi] TRON의 디파이 이해하기 : 3편 JustSwap 이용 가이드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트론 DeFi 붐의 주인공이자 핵심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는 저스트스왑(JustSwap)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DeFi 파밍에 참여하려는 분들께서 트론 지갑, 그리고 DeFi 파밍 웹사이트만 접속하면 파밍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제법 많으신 것 같은데, 당근을 캐거나, 연어를 먹거나, 스리라차 소스 만들 때는 반드시 저스트스왑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당근(CRT), 연어(SAL), 스리라차(SRI) 등은 토큰을 스테이킹하거나 유동성 풀을 제공하고 채굴(파밍)을 할 수 있는 트론 기반의 디파이 프로젝트 토큰들을 말합니다. 저스트스왑 이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디파이 일드 파밍에 참여해보기 위한 기초라고도 할 수 있.. [SANDBOX] Binance 더 샌드박스의 NFT LAND토큰 4012개 인수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얼마 전 더 샌드박스(The Sandbox)의 기본 유틸리티 토큰인 $SAND의 런치패드를 진행했던 바이낸스에서 이번에는 9월 15일에 예정되어 있는 4차 LAND 프리세일 시작에 앞서 4012개의 LAND를 인수했다는 소식을 발표하였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들은 아래의 더 샌드박스 한국 미디엄 블로그, 바이낸스 공지, 코인텔레그래프 기사를 통해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더 샌드박스 한국 미디엄 블로그 : 바이낸스, 바이낸스 랩스가 투자한 더 샌드박스의 디지털 LAND NFT 토큰 전격 인수, 게이밍 가상세계인 메타버스에 참여 바이낸스 블로그 : Game On: Buying Digital LAND NFTs in The Sandbox 코인텔레그래프 : Binance buys vi.. [DeFi] TRON의 디파이 이해하기 : 2편 계정의 Bandwidth, Energy 개념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지난 1편에 이어 본 포스팅에서는 내 트론 계정을 막힘없이 계속해서 사용하기 위한 Bandwidth, Energy 등의 리소스에 대해서 간략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트론 네트워크는 모든 계정(지갑) 사용자들에게 매일 5,000 Bandwidth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토큰 전송 기능만 이용하거나, DeFi 일드 파밍에서 얻는 토큰의 클레임 등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라이트유저는 굳이 이 개념들을 다 이해할 필요까지는 없다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저스트스왑에서 유동성공급을 했다 풀었다, 풀토큰(LP토큰)을 스테이킹했다 풀었다, 일드파밍을 통해 얻은 토큰을 짧은 주기로 클레임하는 등 지갑을 매우 짧은 텀으로 헤비하게 이용하는 유저분들의 경우에만 .. 추억의 윙스다오(WINGS)를 가지고 계시면 XFI로 스왑 신청하세요 업비트를 비롯한 다수의 거래소에서 거래 정지(상장 폐지) 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진 윙스다오(Wings)가 코스모스 기반의 레이어2 DeFi플랫폼인 dFinance로 리브랜딩될 예정입니다. 현재 업비트에서는 거래지원이 중지되었으나 출금은 가능하기 때문에 혹시라도 업비트 계정에서 WINGS를 보유 중이신 경우에는 토큰 스왑을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https://swap.dfinance.co/ WINGS토큰을 XFI(Dfinance의 코인)으로 스왑하기 위해서는 일단 이더리움 개인 지갑으로 WINGS를 출금한 후에 위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토큰 스왑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토큰 스왑 절차는 그다지 어렵지 않고 간단해서, 이더리움 지갑을 자주 사용하셨던 분들은 몇 번 클릭만으로 진행을 하실 수.. [DeFi] TRON의 디파이 이해하기 : 1편 TronLink 지갑 만들기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트론 지갑(계정)을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분들과 DeFi체험 및 저스트스왑 이용을 위해 트론 지갑 사용법을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서 TRON의 디파이 이해하기 시리즈 포스팅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지갑 만들기, 블록체인 리소스 개념 및 충전방법, 저스트스왑 사용방법, 유동성 풀 공급 및 풀토큰 등 일련의 순서에 따라서 포스팅을 업로드해보겠습니다. 오늘은 가장 기초 중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트론 지갑(계정)을 만들고 세팅하는 법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트론 DeFi 이해하기 시리즈 링크] 0편 : [DeFi] TRON기반의 DeFi 프로젝트 소개 및 몇가지 주의사항 1편 : [DeFi] TRON의 디파이 이해하기 : 1편 TronLink 지갑 만들기 2편 : [DeFi] TRO.. [DeFi] TRON기반의 DeFi 프로젝트 소개 및 몇가지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디파이 일드 파밍(DeFi Yield Farming)은 이더리움에서 시작되었으나 확실히 높아진 GAS수수료가 소액 투자자들에게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기 시작하면서 최근 들어 추세가 트론과 이오스쪽으로 조금 바뀐 것이 체감이 됩니다. 이미 트론과 EOS에는 계속해서 새로운 파밍 프로젝트들이 출시되면서 해당 정보를 공유하는 단톡방들이 생겨나고 있기도 하고, 주변에서 일드 파밍 참여후기 콘텐츠들도 제법 보이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서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TRON기반의 DeFi 파밍 프로젝트들과 주의해야할 사항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파밍 프로젝트들은 "절대 추천을 위한 것이 아님"을 명확히 밝힙니다. 언제든 컨트랙트 오류, 큰손 .. [DeFi] Bella Protocol 파밍이 가능한 Binance Launchpool 출시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바이낸스에서 사용자들이 BNB, BUSD, ARPA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새로운 토큰 보상을 얻을 수 있는 파밍 프로덕트인 Launchpool을 출시하였습니다. Binance Launchpool의 첫 번째 프로젝트는 Bella Protocol(BEL)로 BNB, BUSD, ARPA 토큰 홀더들은 해당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BEL토큰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공지 : Introducing Launchpool, a Secure Way to Farm New Assets - Farm Launchpool’s First Project, Bella Protocol (BEL) By Staking BNB, BUSD or ARPA Tokens. #1. BEL Launchpool 정보 시.. [DeFi] 디파이는 스스로 열심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몇몇분들께서 "디파이가 뭐예요?" 또는 "디파이를 어떻게 해야되나요?"라고 DM을 주시곤 하는데, 거의 대부분이 개인지갑이나 계정을 다뤄본 경험이 없으십니다. 이러한 경우는 잘 모르는 코인을 추천받아서 사는 것보다 훨씬 더 위험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eFi토큰을 거래소에서 사는 것과 DeFi를 직접 이용하는 것 사이에는 정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디파이를 이용해보시려면 최소한 메타마스크 사용법, GAS수수료 조절법, TRON월렛 사용법, TRON계정의 에너지와 대역폭을 위한 Freeze/Unfreeze 및 임대, 이오스 월렛 사용법, EOS의 CPU임대 방법 정도는 숙지를 하시고 시작을 하셔야 합니다. 이것이 출발선에 설 수 있는 수준입니다. 어떤 DeFi를 이용할 것인지는 .. 이전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