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230)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더리움 2.0 테스트넷이 ETH의 가격 상승을 이끌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이더리움 2.0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는 프리즈마틱 랩스가 지난 4월 16일에 공개한 Topaz 테스트넷에 밸리데이터(Validators)로 참여한 노드의 수가 2만 개를 돌파하였습니다. 다들 익히 알고 계시는 것처럼 이더리움 2.0에서는 지금까지의 합의알고리즘인 작업증명(PoW)방식을 지분증명(PoS)로 완전히 개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ETH 2.0에 대한 높은 관심 이전 테스트넷인 사파이어에서는 밸리데이터의 예치금으로 3.2 ETH만 사용했으나, Topaz 테스트넷부터는 Goerli ETH1.0 테스트넷에서 32 ETH를 예치해야 참여가 가능하게 변경되었습니다. 이미 32 ETH씩을 예치하고 이더리움 2.0 테스트넷의 밸리데이터로 참여하기 시작하는 팀이 2.. [ICO] 페이스북 Libra의 대항마, Celo 토큰판매 정보 안내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최근 개인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보고 있는 프로젝트 Celo의 퍼블릭 토큰 세일 관련 소식을 소개드립니다. #1. 셀로(Celo)란? 셀로(Celo)는 페이스북의 Libra 프로젝트의 대항마로 소개가 되면서 더욱 유명세를 타고 있는 블록체인 오픈 금융 플랫폼 프로젝트입니다. ERC-20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을 개발해 왔던 Celo foundation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솔루션과 인프라를 구축하여 은행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unbanked) 소외 계층을 포함하여 전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누구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손쉽게 금융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지난 3월 11일에는 블록체인 기반 오픈 화폐시스템 구축을.. [EOS Inside] MYKEY가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스마트 월렛인 이유 블록체인 세계에 처음 입문하신다면, 여러분들의 암호화폐(디지털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지갑(월렛)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기본적으로 지갑은 무조건 안전해야 하고, 복잡한 숫자와 문자로 구성된 프라이빗키를 기억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잃어버렸을 때 언제든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지갑은 간결하고 누구든지 사용하기 쉬워야 합니다. MYKEY에서 계정을 만드는 것은 휴대폰으로 음식 배달주문을 하는 것만큼 정말 쉽습니다. MYKEY에서는 네트워크 비용(Network Fee)만 있으면 GAS, RAM, CPU, NET과 같은 퍼블릭 체인들의 다양한 리소스 개념에 대해 전혀 신경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지갑은 입금, 자산관리, 거래, 게임, 커뮤니티 활동 등 유저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 때.. [EOS Inside] KEY GROUP 시리즈A 투자 유치 성공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MYKEY앱과 KEY토큰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한국 투자자분들께 관련 소식을 보다 편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앞으로 KEY GROUP의 최신 뉴스 및 콘텐츠 등의 번역글을 정기적으로 공유합니다. 원문 콘텐츠 링크는 본문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부연설명 및 이미지가 추가되어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블록체인 기술 기업인 KEY GROUP은 시리즈 A 라운드에서 해시키 캐피탈(HashKey Capital), 펜부시 캐피탈(Fenbushi Capital), 량신쥔(푸싱 그룹 공동창립자), 유니밸류 어소시에이트(UVA)로부터 수백만 달러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KEY GROUP은 BIHU.COM(100만 명 이상의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 최대의 블록체인 커뮤.. [STEEM] 스팀 블록체인이 해결해나가야 하는 숙제들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그동안 스팀 생활을 해 오면서 개인적으로 스팀 블록체인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던 것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몇 가지를 정리해볼까 합니다. 물론 아래에서 정리해 본 내용들은 개인적인 생각에 불과하며, 아래의 내용들을 개선하기 이전에 일방적으로 배제된 Hive토큰 에어드랍, 지속적으로 Steem블록체인에 과부하를 유발하는 스팸 트랜잭션, Hive유저들의 스팸 댓글 및 리워드 밀킹, 하이브쪽 증인들 및 고래들의 영향력의 배제 등 선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작업들이 남아 있기 때문에 아래의 내용들은 어느 정도 스팀이 안정화되고 나면 천천히 그리고 공개적인 논의를 통해 변경되어 나가길 희망합니다. #1. Inflation Pool 현재 스팀의 인플레이션은 2016년 12월에 연간 9.5%의.. Binance의 15개 프록시 계정이 Reward Proxy로 등록되었습니다 바이낸스에서 EOS메인넷의 거버넌스에 보다 깊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움직임이 계속해서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엊그제 Binance에서는 자신들이 운영 중인 15개의 프록시 계정을 젠풀의 Reward Proxy에 등록하면서 BP투표에서의 영향력을 계속해서 늘려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이낸스에서 운영 중인 15개의 프록시 계정이 젠풀(GenPool)의 리워드 프록시에 동시 등록되었습니다. 덕분에 젠풀 플랫폼을 통해 EOS BP투표에 참여하고 있는 EOS의 수량은 무려 5,000만 개에 달하는 수량으로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등록되어 있는 프록시는 binanceprox1~5, binancevote1~5, binanceprxy1~5까지에 해당하며 제일 크게는 약 760만 EOS부터 제일 적은 .. [EOS Inside] 2020년 5월부터 Block.one이 EOS BP투표에 참여합니다 벌써 5개월 전 일이네요, 지난 2019년 11월에 블록원에서는 EOS 퍼블릭 블록체인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투표에 참여하겠다는 발표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링크 : [EOS Inside] 블록원, EOS메인넷 BP투표를 통한 거버넌스 참여 시작 그리고 지금까지 약 5개월 동안 어떤 기준을 가지고 어떻게 거버넌스의 모범 사례를 만드는데 본인들의 지분을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 수집 활동을 해왔죠. #EOSGOV라는 해시 태그를 사용한 여러 포스팅 및 트윗들의 내용들을 면밀히 관찰 및 수집해왔던 것으로 보이고, 최근에는 Public Blockchain Engagement (퍼블릭 블록체인 관련 부서)를 신설하는 본격적인 행보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EOS메인넷의 거버넌스 측면에서 가장 많은 기여를 해왔.. [STEEM] 소프트포크 0.22.8888이 적용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금일(2020년 4월 4일) 한국시간 기준 19:00부로 소프트포크 0.22.8888 버전이 적용되었습니다. 해당 소프트포크 관련 공식 발표문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Steem Consensus Witness Statement : Softfork 0.22.8888 소프트포크 0.22.888이 무엇이고 왜 시행이 되었는지에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서 간략하게 요약 정리하여 드립니다. #1. 소프트포크 0.22.8888 이번 소프트포크 0.22.8888은 다음의 기준에 해당하는 일부 계정의 향후 트랜잭션을 제한하는 임시조치입니다. 하드포크 시행 전후로 스팀 블록체인에서 0.23 버전을 운영하고 있었던 증인에게 10표 이상을 투표한 프록시 계정 위임자 및 직접 ..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