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개인 에세이(dCRYPTO)

(195)
BTC/ETH/LTC를 비롯한 메이저 알트들의 달리기 준비 완료? 개인적으로 즐겨보고 있는 크립토 애널리스트 @rektcapital의 분석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라이트코인(LTC)의 차트상 의미 있는 변화들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라이트코인의 현재 차트상 분위기가 어떠한지에 대해서 간략히 짚어보고 넘어가겠습니다. #1. 비트코인(BTC) 먼저 비트코인의 경우 주봉상 다년간의 저항추세를 돌파하였으며, 강한 저항구간이었던 11,400~11,600불을 3주 연속으로 잘 지키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차트상의 모습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던 모습입니다. 채굴자들을 비롯하여 몇몇 고래들이 비트코인의 가격을 해당 지지선 아래로 떨구기 위해 상당한 매도 압박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지선을 잘 지키며 ..
[TxStreet] 실시간 블록체인 트랜잭션 시각화 도구(Blockchain Transaction Visualizer) 소개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TPS, mempool, 블록크기, Gas수수료 등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간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TxStreet라는 것이 있어서 간략하게 소개를 드립니다. TxStreet.com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캐시의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도구로 새로운 거래가 체인에 브로드캐스팅 되면 사람들이 나타나서 버스에 탑승 대기를 하게 됩니다. 거래수수료가 충분히 높은 사람들은 첫 번째 버스에 탑승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다음 버스를 줄을 서서 기다리게 됩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비교하는 듀얼 차트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을 해볼 수 있습니다. https://txstre..
[Codefi] SKALE토큰의 새로운 토큰세일 일정 공개 본래 8월 17일에 더치 옥션 방식으로 컨센시스의 Codefi Activate의 첫 번째 토큰 세일로 예정되어 있었다가 연기된 SKALE토큰 세일과 관련하여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이 있었습니다. 8월 17일 이전에 Activate에서 KYC를 완료했던 사용자들에게는 위와 같이 별도의 메일이 왔는데 그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판매기간 : 9월 4일 01시 ~ 9월 6일 01시 (우리나라 시간 기준) (2) 전체 판매량 : 175,000,000 SKALE (최초 공급량의 4.2%) (3) 토큰 가격 : 0.03달러로 고정 (4) 개인당 하드캡 : 1,153달러 (5) Proof of Use 기간 : 60일 컨센시스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SKALE토큰 세일에 참여하기 위해 KYC를..
[dCRYPTO] NuCypher에서 선보인 새로운 개념의 에어드랍 WorkLock 정보 (9월 1일)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한 때 시드라운드와 SAFT조건으로 추가 2번의 라운드에서 약 178.5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엄청난 인기를 끌며 ICO의 Fomo가 예상되었으나 돌연 ICO를 취소하며 펌프앤덤프를 방지할 수 있는 WorkLock이라는 개념을 선보였던 NuCypher의 WorkLock 관련 세부정보가 공개되었습니다. 워크락(WorkLock)에 참여하는 방법은 본래 최소 2,000달러 이상의 ETH를 예치하고 개별적으로 노드를 세팅하는 것이지만, 혹시라도 개별적으로 세팅이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은 코인리스트(CoinList)를 통해 간접 참여도 가능합니다. 개별적으로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의 원문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라며, 아래에서는 코인리스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에 대해서 ..
Polkadot의 DOT토큰 1:100 액면분할 완료 우리나라 시간 기준으로 8월 22일 1시 48분 경에 블록 넘버 1,248,328에서 폴카닷의 네이티브 토큰인 DOT토큰의 1:100 액면분할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액면분할을 통해 이전에 DOT토큰을 보유하고 있던 토큰 홀더들의 토큰 수량은 100배로 증가한 반면에 가격은 100분의 1로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토큰의 가치에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 결국 액면분할은 좋은 선택이었다. 바이낸스와 업비트 등 대형거래소 동시 상장이라는 엄청난 호재에도 불구하고 이미 기대감이 가격에 상당히 반영되어 있었던 폴카닷은 비트코인의 가격 조정과 함께 단기적으로 엄청난 하락을 보였으나, 현재는 불안정한 시장 분위기 속에서도 30%가 넘는 순간 상승률을 보여주며 결국 액면분할이 좋은 선택이었음을..
[dCRYPTO] 오미세고(OMG Network)의 테더(USDT) 전송 지원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낮은 TPS와 혼잡상태에서 높아지는 GAS수수료를 해결하고 가치를 이전할 수 있는 레이어2 솔루션인 OMG Network는 Bitfinex와의 협업을 통해 테더(USDT)의 저렴하고 빠른 전송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OMG Network 발표 : Achieving Ethereum Scalability: Tether (USDt) Integration Now Live on OMG Network 현재 OMG Network 메인넷 v1의 블록익스플로러를 확인해보면 USDT의 발행 및 전송이 가능해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록익스플로러 : https://blockexplorer.mainnet.v1.omg.network/transaction/0xaf077ce0ada824cfd113783a..
[DeFi] 테조스(XTX), 알고랜드(ALGO), 코스모스(ATOM)의 합성자산형 토큰 BLND 최근에 흥미로운 토큰을 하나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DAO의 형태로 운영을 하면서 PoS 디지털애셋들의 포트폴리오를 하나의 바스켓으로 운영하는 방식의 합성자산형 토큰인 BLND입니다. 개인적으로 최근에 알고랜드의 투자 비중을 많이 높였는데 그 이유는 일전에 포스팅을 통해 알고랜드를 간략하게 소개드렸던 것처럼 (1) 코인베이스, 써클 등 미국 기반으로 꽤나 백업을 받는 곳들이 많다는 점, 그리고 (2) 비교적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PoS 생태계에서 빠르게 연결되고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포트폴리오 : https://data.stakerdao.com/blend BLND의 바스켓 토큰(포트폴리오)으로는 현재 테조스(XTZ), 알고랜드(ALGO), ..
[DeFi] 저스트스왑(JustSwap) 베타 버전 공개 +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트론의 무서운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는 저스트스왑(JustSwap)의 베타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기본적인 기능들이나 디자인들은 이더리움 기반의 유니스왑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라 기존에 유니스왑을 이용해보신 분들이라면 조금만 만져보시면 쉽게 이용이 가능하실 것 같네요. 저스트스왑 베타 버전 링크 : https://test.justswap.io/ 현재 여러 코인 커뮤니티에서는 저스트스왑이 출시되면 어떤 TRC20토큰의 가격이 급상승할 것이냐를 두고 다양한 예측들이 나오고 있는데, 일단 출시 이후 초반에는 다음과 같은 리스크를 주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1) 개인지갑 조작 상의 실수 : 개인 지갑을 처음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POOL에 유동성을 공급하려다가 잘못된 토큰 스왑을 진행하거나, 교환하려는 토큰쌍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