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디지털자산 시장의 핫 키워드이자 트렌드는 누가 뭐래도 DeFi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17년에 이더리움을 ERC-20토큰 ICO에 넣으면 최소 2배 이상으로 되돌아오던 ICO의 광풍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아무도 알 수 없었던 것처럼, 현재 수익 농사(Yield Farming)이라는 이름으로 돌려막기를 하고 있는 다양한 DeFi토큰들의 엄청난 가격 상승버블도 언젠가 갑자기 "펑!"하고 터질 수 있을 것 같아 우려가 됩니다.
한 편으로는 DeFi라는 이더리움 진영의 "이더리움의 PoS전환 시기를 스무스하게 넘기기 위한 타게팅된 마케팅 전략은 굉장히 성공적"이었으며, DeFi 트렌드 덕분에 크립토 마켓 전체에 유동성이 풍부해졌다는 점 만큼은 큰 의미를 가지지 않나 생각합니다.
오늘은 개인적으로 디파이와 Yield Farming 이면에 숨겨져 있는 것들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1. 스테이블코인 모으기 성공
DeFi생태계의 성장과 DeFi트렌드는 "엄청난 량의 유동성을 온체인 상으로 불러들였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를 가집니다.
DeFi의 유동성을 높이고, 플랫폼을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골고루 배포하기 위해 시작되었던 컴파운드의 거버넌스 토큰인 COMP토큰의 배포 제안서로 시작된 COMP토큰의 단기적인 가격 상승은 DeFi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들을 불러 일으키는데 성공했고, 여기에 밸런서(BAL), 커브파이(CRV), 신세틱스(SNX), 와이언(YTI) 등으로 계속해서 이어지는 Yield Farming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 무려 36억 달러에 해당하는 스테이블코인들을 불러왔다는 점에서 엄청난 의미를 가집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컨트랙트 오류, 해킹 등의 문제는 배제하고) 가격 변동의 리스크가 없으나, 예치만 해놓으면 여러가지 토큰들이 쑥쑥 자라나니 언제든 원할 때 해당 토큰들을 수확하기만 하면 되었고 이 수익이 은행에 현금으로 넣어놓는 것보다 나았기 때문에 3달 만에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 스테이블 코인이 3배나 상승하며 무려 4조 3,200억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성장했습니다.
물론 스테이블코인들은 언제든지 현금(법정화폐)로 전환되어 다시 은행계좌로 들어갈 수도 있고, 아니면 다른 스테이블코인들과 끊임없이 컨버팅되는 등 "홀딩에 대한 충성도가 매우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36억 달러 중 일부만 그대로 스테이블코인으로 남거나 다른 디지털 현물자산(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으로만 전환이 되더라도 크립토마켓의 유동성 증가로 인한 분위기 반전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가치의 P2P이전
이더리움의 느린 트랜잭션과 트랜잭션당 가스 수수료 정책 하에서는 거래소와 같은 오더북 방식의 DEX구현이 불가능합니다. 오더북 방식으로 구축을 해봤자 매수/매도의 호가 갭이 너무 크기 때문에 거래가 성사되는 일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보니, 생겨난 것이 바로 "AMM(Automated Market Maker)방식의 DEX"입니다.
사용자들이 가격을 제시하는 매수/매도 오더북 대신에 이미 유동성(자금)이 있는 온체인 유동성 풀에서 거래를 하게 되고, 이때 유동성 풀(Pool)을 제공하는 공급자들은 거래수수료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거래참여자들은 슬리피지(slippage)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게 되었죠.
[참고] 슬리피지(slippage) : 매매주문 시 발생하는 체결오차 현상으로 원하는 가격에 현물, 선물을 매수할 수 없을 때 발생되는 비용
덕분에 장기 홀딩 목적으로 토큰을 보유 중인 사용자들은 유동성을 공급하고 이에 대한 보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생겼습니다. 그것도 해당 토큰에 별도의 스테이킹 이자 개념이 없는 경우에도 말이죠. 예를 들어, 최근 여러 토큰들은 매년 x%의 인플레이션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있는 토큰홀더들에게 인플레이션의 일부를 스테이킹 보상으로 제공합니다. 그러나 검증자나 BP가 아니면 토큰 홀딩에 따른 기간보상이 없는 토큰들도 많은데, 이런 토큰들에게 일종의 보유기간에 따른 이자보상이 생긴 것이죠.
거기에 더불어 Lending & Borrowing 서비스를 통해 전통 금융시장과 같이 대출을 통해 발생되는 예대마진을 중간 공급자가 취하지 않고 대출자들에게 귀속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여러 방면에서 가치의 P2P 이전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물론, 현재는 DeFi 플랫폼 간의 차익거래를 위한 차입 수요만 있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3. 이더리움의 지배력 상승
단순히 ETH의 가격 상승, ERC-20토큰들의 가격 상승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BTC 및 스테이블코인들이 이더리움 체인상에 묶이기 시작하면서 이더리움은 다시 한 번 PoW에서 PoS의 전환이라는 위기를 극복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Pool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수수료수익, 이자수익, 수익농사 등에 참여하는 것 뿐이지만 이 기능이 정말 다양한 ERC-20토큰들에게 공통적인 유틸리티를 부여했고, 담보 예치 후 빌린 스테이블코인으로 거래할 수 있는 토큰들(ERC-20)의 종류가 정말 다양하다는 점은 후발 플랫폼 생태계가 쉽사리 뛰어넘을 수 없는 진입장벽이 되어버렸습니다.
예를 들어 TRX를 담보로 예치하고 USDJ를 빌린다고 하더라도, USDJ로 할 수 있는 것은 별게 없습니다. 물론 TRC20토큰들도 다양하게 있지만 선택지가 ERC-20에 비해 훨씬 적은 편이고, 해당 토큰의 시가총액 자체가 낮아서 투자 리스크가 매우 크며, 유동성(USDJ페깅 마켓)이 매우 낮기 때문에 생태계 자체적인 DeFi의 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DApp토큰들의 가치가 살아나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생깁니다.
결국 후발주자들은 (1)자체 생태계의 DApp토큰들의 자생을 기다리거나, (2)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뺏어오거나, (3) 이더리움과 연결되는 것 중 하나를 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미 이더리움 진영에서는 중앙화된 거래소 수준의 성능을 자랑하는 DeFi 2.0으로서의 DEX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만큼, 이더리움과 크로스체인으로 묶는 역할을 하는 DEX를 만들어서 연결하는 체인이 시장을 잠식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현재 Yield Farming으로 대표되는 DeFi 1.0은 이더리움처럼 높은 수수료가 이른바 채굴원가로 작용하는 경우에만 성공할 수 있고, 오히려 너무 빠르게 작동하고 하나의 블록에 담보예치, mint, 포지션 진입, 포지션 이탈 등이 한 번에 담기지만 채굴원가는 0에 가까운 고성능 체인들은 DeFi 1.0에서 승부를 보기 어렵습니다.
좋은 말로는 이더리움과 잘 연결된, 나쁜 말로는 이더리움에 빨대를 잘 꽂는 퍼블릭체인이 빠르게 DeFi 2.0시장을 점령하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여 바이낸스에 가입하시면 거래수수료의 20%를 페이백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거래소 가입하기 (아래의 배너 클릭!)
'블록체인 > 개인 에세이(dCRYP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빗이 쏘아올린 작은 공 (0) | 2020.07.29 |
---|---|
72시간 만에 4300만 달러 모금을 완료한 Polkadot (2) | 2020.07.28 |
비트코인의 강한 상승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될까? (0) | 2020.07.27 |
[DeFi] Plutus DeFi 토큰세일 참여 방법 및 ETH → wETH 변환 방법 (0) | 2020.07.27 |
[DeFi] 거래소별 주요 DeFi토큰 정보 요약정리 (초보자용) (0) | 2020.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