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Fi

(271)
[DeFi] Venus Protocol 테스트넷 런칭 및 사용방법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바이낸스의 런치풀 프로젝트 중 하나인 비너스 프로토콜(Venus Protocol)의 테스트넷이 런칭되었습니다.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SC)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비너스 프로토콜의 알파 버전을 사용하여 담보자산을 제공하고 스테이블코인인 VAI를 발행하는 메커니즘을 체험해보고 싶은 분들은 BSC테스트넷 설정을 통해 메타마스크로 테스트 참여가 가능합니다. Venus Protocol — Testnet Launch 메타마스크의 간단한 설정 변경을 통해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SC) 테스트넷 및 비너스 프로토콜 테스트넷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메타마스크에 BSC테스트넷 추가하기 일단 비너스 프로토콜 테스트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바이낸스 스마트체인..
[Binance]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SC) 메타마스크 세팅 및 접속 방법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바이낸스에서 BSC(Binance Smart Chain)을 런칭하고 나서 다양한 DeFi프로젝트들이 출현하고 토큰의 가격 방어가 비교적 잘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BSC기반의 디파이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바이낸스 스마트체인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이더리움 메인넷과 호환이 잘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덕분에 굳이 새로운 지갑을 설치하지 않고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던 메타마스크의 간단한 설정 변경 만으로도 바이낸스 스마트체인을 이용할 수 있다는 엄청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SC)에 메타마스크로 접속하기 위해서 메타마스크를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아래에서의 설명은 메타마스크가 ..
[SANDBOX] NFT와 DeFi의 콜라보를 진행하는 유동성 마이닝 2단계를 주목하자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일전에 포스팅을 통해 소개드린 적 있는 더 샌드박스의 유틸리티 토큰 SAND의 유니스왑 SAND/ETH풀 유동성 마이닝이 시작된지도 어느덧 3주가 지났습니다. 150만 SAND를 유동성 공급에 대한 인센티브 보상으로 걸고 시작된 SAND 유동성 프로그램은 1달 동안 공급한 유동성의 비율에 따라 지급될 예정입니다. 유니스왑 SAND/ETH 풀 : https://uniswap.info/pair/0x3dd49f67E9d5Bc4C5E6634b3F70BfD9dc1b6BD74 현재 유니스왑에는 2,760 ETH에 상당하는 240만여개의 SAND토큰 유동성 공급이 계속되고 있으며, 증가세는 조금 미미한 편이지만 유동성 공급량이 9월 24일 이후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
[DeFi] PERSISTENCE의 XPRT토큰 스테이크드랍(StakeDrop) 시작 예정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Persistence의 첫 번째 스테이킹 드랍 이벤트가 ATOM토큰홀더들을 대상으로 10월 26일부터 진행될 예정입니다. Persistence는 XPRT토큰 제네시스 공급량의 1%를 스테이킹 드랍 캠페인을 통해 배포할 예정이며, 코스모스 토큰 홀더들은 ATOM을 스테이킹하고 XPRT토큰을 받을 수 있습니다. PoS Token Holders, Prepare Yourselves for Persistence StakeDrop! The Grand Unveiling Persistence의 스테이크드랍의 최초 런칭일인 10월 26일에는 ATOM토큰 하나로 시작하지만, 추후에 폴카닷(DOT), 매틱네트워크(MATIC), 테조스(XTZ), 루나(LUNA), 카바(KAVA), 아이리스(IRIS)..
[DeFi] TheGraph의 GRT토큰세일 세부정보 공개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2주 전쯤에 포스팅을 통해 소개드린 바 있었던 TheGraph의 GRT토큰세일의 일정 및 세부정보가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TheGraph팀의 공지에 따르면, 현재까지 20,000명 이상의 사용자가 GRT토큰세일 참여를 위한 등록을 마쳤으며 개인당 참여가능 캡은 10월 20일(화)에 이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가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원문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heGraph 블로그 : Announcing The Graph’s GRT Sale and Distribution #1. GRT토큰세일 정보 GRT토큰세일 등록 : https://register.thegraph.com/ GRT토큰세일 사이트 : http://sale..
[DeFi] DODO토큰 유동성 마이닝, 토큰할당 및 가격 정보 요약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오늘 오전 포스팅을 올리고 DODO토큰에 대해서 문의를 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몇가지 내용을 추가로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일단 DODO토큰의 거버넌스 토큰으로서의 성격, 채굴 가능여부, DODO플랫폼의 특성 등은 익히 잘 알고 계시는 유니스왑(Uniswap) 및 UNI토큰과 매우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DODO토큰의 경우에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도 플랫폼에서 유동성 공급(LP)을 통해 마이닝이 가능합니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상대페어가 무조건 USDC로 고정이 되어 있으며, ETH, WBTC, LINK, LEND, SNX, COMP, YFI까지 디파이 생태계의 주요 토큰들로 채굴에 참여가 가능하다는 정도의 차이만 있습니다. #1. DODO Fomo? 사실 프라이빗 투자 라운드..
[DeFi] 온체인 유동성 공급 플랫폼 DODO 간략 소개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유니스왑보다 유동성 측면에서 10배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한다고 스스로 자부하는 온체인 유동성 공급 플랫폼 DODO가 프라이빗 세일 펀딩 라운드에서 500백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인상적인 부분은 DODO의 프라이빗 세일에 참여한 팀인데요, Pantera Capital, Three Arrows Capital 그리고 Binance Labs가 주도한 프라이빗 세일에서 Coinbase Ventures, Galaxy Digital 등의 유명 VC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점입니다. 그 이외에 참여한 VC들도 CMS Holdings, Alameda Research 등 유명한 VC들이 꽤 많이 참여했네요. DODO팀이 밝힌 내용에 따르면, Uniswap과 같은 AMM(Automati..
[Binance] 16번째 런치패드 INJECTIVE PROTOCOL 공개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바이낸스의 스마트체인(BSC), 런치패드, 런치풀 등 BNB의 가치 상승을 위한 공격적인 행보가 지속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보통 2달 주기로 진행해왔었던 바이낸스의 런치패드가 이번에는 굉장히 빠른 주기로 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소식을 공지했네요. #1. INJECTIVE PROTOCOL Injective Protocol은 영구 스왑, 선물, 현물 거래와 같은 다양한 파생상품의 거래를 지원하는 크로스체인 DeFi 프로토콜로, Injective Chain은 Ethermint(Tendermint의 EVM)로 구출된 Cosmos SDK 모듈로 구현됩니다. 가스 수수료 비용없이 빠른 크로스 체인 거래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 페그 존을 활용하며, 이를 통해 이더리움과 코스모스 생태계를 ..